본문 바로가기

Writing

특파원 소식 69탄 얼마전 커뮤니티에 ‘중국 4대 미녀 배우’라고 글이 올라왔었고, 그와 유사한 블로그 글들도 여러 번 봤습니다. 그 글들에서 주로 언급되는 것이 판빙빙, 안젤라베이비와 탕웨이, 장신위(?), 유역비 등이 주로 언급되는데, 중국인들에게 보여주면 이게 뭔 헛소리인가…라는 반응입니다. 판빙빙과 안젤라베이비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습니다. 하지만, 탕웨이라고 하면 에에에엥엥?? 하는 반응이구요, 장신위라고 하면 ?????? 하는 반응입니다. 탕웨이는 인기나 지명도에서 그정도는 아니라는 반응이고, 장신위는 누군지 모르는거죠. 탕웨이는 우리나라 며느리라 새로운 애국심의 발현으로 생각되구요, 나머지는 지극히 개인적인 취향내지는 그냥 본인이 아는 중국 배우 쓴 것 같습니다. 마치 외국인이 한국의 4대 미녀는 전지현, 김태희.. 더보기
특파원 소식 68탄 월간 특파원 소식 68탄입니다. 이 소식을 받으시는 여러분 모두 PT때문에 바쁘시죠. 저도 무척 바쁘지만, 잠시 뇌도 휴식할 겸, 또 다른 생각을 하다보면 더 좋은 생각이 떠오르지 않을까하여 키보드를 잡습니다. 그간 소재가 떨어져서 고심고심했는데, 사람들과 얘기하다보니 떠오른 소재가 있어, 오늘은 그 소재로 진행하려구요. 다름 아닌, 중국이 한국보다 오히려 더 자본주의적이라고 생각될 때.. 입니다. 누군지 기억은 잘 안나는데 한 외국인(학자거나 작가거나)이 이렇게 말했었죠. “한국은 집단과 전체를 생각하는 경향이 강해서 공산주의가 엄청 발달할 수도 있는 민족이다.” 지금은 자본주의의 부패의 끝을 보여준다는 CNN의 평가도 받는 나라이긴하죠. 왜 이렇게 되어쓰까… 그냥 궁금해서 물어보는거에요. 아무튼 중국.. 더보기
특파원 소식 67탄 월간 특파원 소식입니다. 올해의 마지막 특파원 소식이 되겠네요. 오늘은 2016년을 마무리하며, 중국의 규모를 실감나게하는 몇가지 자료를 소개할까합니다. 중국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2016년 한해를 마무리하는 기사가 많이 나오는데, 그 중에 발췌해서 알려드릴께요. 올해 우리나라 특히 경남지방을 강타했던 지진 때문에, 일본이 제 역할을 못하는게 아니냐 또는 하느님이 일본을 친다는 걸 삑사리 낸거 아니냐… 말이 많았죠. 중국도 가끔씩 대 지진을 겪는 지진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나라입니다. 일본과 중국사이에 껴 있는데, 우리나라는 큰 지진이 안나다니… 다시 한 번 단군 할아버지의 위치 선정에 감사. 중국에 역사상으로 유명한 지진은 쓰촨 대지진, 당샨 대지진 등이 있죠. 올해도 어김없이 지진이 나고 있습니다. .. 더보기
특파원 소식 66탄 격주간 특파원 소식 66탄입니다. 오늘은 지난 번에 예고해드린대로 춘추전국시대인 중국의 스마트폰 시장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그전에 2~3번 말씀드린 것 같은데, 중국에서는 같은 숫자가 겹치는 것은 행운을 뜻합니다. 오늘 소식이 66탄이니, 행운이 깃든 하루 되시길.. 춘추전국시대(春秋戰國時代)BC 770년, 주나라가 호경에서 낙읍으로 옮긴 후부터 진나라가 221년 중국을 통일하기까지를 일컫는다. 춘추시대는 공자가 쓴 역사서 의 이름에서 따왔다. 주왕실의 세력이 약해진 후 100개가 넘는 나라가 난립한 가운데 제환공, 진문공 등이 강국들을 규합하여 초나라의 침략을 막고 주왕실을 받드는 시기이다. 전국시대는 수많은 나라들이 제·위·한·조·연·초·진 7개 국가로 정리되고 서로 영토를 차지하려는 전쟁이 계속.. 더보기
특파원 소식 65탄 주간 특파원 소식 제 65탄은 지난 주에 이어 꽝꾼지에 특집입니다. 말씀드린대로 꽝꾼지에는 알리바바의 창립 기념일 세일로 시작했으나, 다른 업체들도 가만히 있을 수 없다며, 너도 나도 뛰어 들어서, 중국판 블랙 프라이데이가 되었습니다. 그렇다 쳐도 역시 꽝꾼지에의 메인은 ‘알리바바’입니다. 알리바바가 이룬 이번 꽝꾼지에의 업적을 간략히 정리해봤습니다. 일단 총 매출은 1207억 위안(약 20조 6723억 원)으로 최종 집계되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912억 위안(약 15조 5678억 원)보다 32% 증가한 규모이며, 모바일을 통해 이루어진 거래액은 990억 위안(약 17조 9557억 원)으로 전체의 82%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2015년 대한민국의 전체 전자 상거래 규모가 54조원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