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탄이네요.
중국에서는 같은 숫자가 2개 겹치면 길한 숫자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세일할때도 88折(저)(88저는 12% 할인임), 77折(23% 할인)을 많이 하구요, 3월 3일, 8월 8일 모두 길일입니다. 베이징 올림픽 개막일이 2008년 8월 8일 오후 8시 8분이었죠(8을 좋아하기도 합니다. 다음 번에는 이런 숫자나 색깔 얘기를 해야겠네요. 소재 하나 건졌다. Self 문답)
오늘은 중국의 언어에 대해 얘기해보려 합니다. 중국의 언어? 중국어 아냐? 라고 의문을 가지실 수 있습니다. 그렇죠. 맞습니다. 중국의 언어는 중국어죠. 하지만 중국어라고 하기에는 너무나 다양한 언어가 있습니다. 몇 개나 있나.. 하는 건 제가 잘 몰라서 검색을 해봤는데요, 크게 7개의 방언이 있다고 합니다. 거기에 56개 소수 민족이 있으니, 그들의 언어가 또 있습니다. 그리고 그 7대 방언도 그 안에서 또 몇 개로 나뉘어서, 일반적인 중국인들도 몇 개가 있는지 모릅니다. 제가 물어본 사람은 아무튼 다 모르더군요.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전에, O, X 퀴즈 하나
중국의 표준어(普通话, 푸통화)는 북경 지역의 언어이다(O, X)
정답은 아래 본문을 읽으시면 아실 수 있습니다.
이제는 말 안해도 아시다시피 저는 베이징에만 살았습니다. 그외에는 샹하이, 티엔진, 칭다오, 션전 정도만 가 봤죠. 베이징 말의 특징은 얼화(兒化)라는 말로 대표됩니다. 말의 뒷말을 ‘얼’과 비슷하게 발음하면서 말을 흐리는 건데, 제가 보기엔 남자들이 더 심합니다. 듣고 있으면, 전날 밤새 고스톱치고 돈 다 잃어서 체력도 기력도 모두 소진한 만사가 귀찮은 사람이 말하는 느낌입니다. 예를 들면 어제 알려드린 식당에서 종업원 부를 때 쓰는 服务员(푸우유엔)은 ‘푸우유알’이라고 하고, 前门(치엔먼)과 같은 지명은 ‘치엔멀’ 이렇게 발음합니다. 북경 토박이들이 주로 사용하며, 대체로 학력 수준이 낮을수록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100%는 아니지만요. 하지만 이 북경어의 얼화는 방송에서는 나오지 않습니다. 방송에서는 정부에서 普通话(푸통화) 보급을 위한 정책도 있고, 표준어도 아니다보니 나오지 않습니다. 이 얼화는 택시타면 바로 들으실 수 있습니다. 저도 자주 쓰는 단어들은 알아듣지만, 자주 안 쓰는 단어들은 못 알아 듣습니다. 그런데 가끔 중국어 동영상 강의나 책에서 보면 이 ‘얼화’를 그대로 강의하는 것도 있으니, 유의해서 배우세요. 저는 얼화 배우지 않기위해 노력했습니다. 전 서울 사람이니까요 후훗..
동북 지역의 방언은 알아 듣기 편합니다. 표준어니까요. 그래서 북경 출신의 중국인보다 조선족들의 발음이 표준어입니다. 잠시 옆으로 새면, 조선족들은 다 중국어를 잘 할 것이라는 오해가 있습니다.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중국어 하나도 못하는 사람도 여럿 봤고, 반대로 한국어 하나도 못 하는 사람도 봤습니다. 어떤 학교를 다녔느냐에 따라 다른데요, 대부분의 조선족들은 조선족 학교를 다니게되면, 초등학교에 들어가서 중국어를 처음 배웁니다. 우리가 영어 배우듯이 배우는 거죠. 그렇게 고등학교까지 가고, 대학교 가서 본격적으로 중국어 쓴다고 하네요. 다시 돌아가서, 광동화 방송을 제외한 대부분의 방송(소수민족 방송을 제외하고)은 다 표준어로 방송됩니다.
중국에 간 지 얼마 안되던 시점, 레지던스에서 주말에 TV를 보는데 축구 중계(EPL)을 하기에 축구를 봤습니다. 위성 방송인데, 동남아 말이더군요. 베트남 아니면 태국인가보다..하고 보고 있는데, 엇! 자막이 중국어가 나옵니다. 글자는 대만, 홍콩에서 쓰는 번체(요건 나중에 기회되면 설명드리지요)! “뭐지?? 웅웅?? 이게 뭐지?? 이게 중국어인가?” 그것은 바로 广东话(광동화, 광동화라는 뜻)였습니다. 과거 1980년대 홍콩 느와르가 유행하던 시절, 영웅본색, 첩혈쌍웅, 지존무상을 보신 분들은 익숙하실 바로 그 광동화입니다. 얼핏 듣기에는 완전히 동남아 말입니다. 푸통화와 발음도 다르고 성조도 완전히 다릅니다. 그래서 광동화 쓰는 사람과 푸통화 쓰는 사람이 대화하면 전혀 대화가 안된다고 합니다. 광동화는 광동성 지역은 물론 홍콩에서 쓰이는데, 그 지역에는 푸통화 방송과 광동화 방송이 따로 있습니다. 광동 사람들도 제대로 학교 나온 사람은 모두 푸통화를 합니다. 하지만, 나이 많이 드신 분들은 푸통화 아예 못하는 분들도 많죠.
그 다음, 오래 전에 중국어를 배우신 분들은 대만어를 배우셨습니다. 대만어는 기본적으로 푸통화에 기초합니다. 다만, 쓰이는 단어들이 다른 경우가 있고(특히 신조어나 외래어들), 성조가 다른 단어들도 있습니다. 그리고 글자가 다릅니다. 대만은 번체, 대륙은 간체를 씁니다. 요건 나중에 꼭 설명드려야겠네요. 그리고 중국 대륙에서도 福建省(푸젠성)은 대만과 마주보고 있습니다. 위성 안테나달면 대만 방송이 나와서 과거에 대만 방송을 많이 봤다고 하네요. 그리고 푸젠과 광동에서는 글자도 번체 쓰는게 유행한 적도 있는 등, 대만과 홍콩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입니다. 지금이야 중국 방송들도 많이 재미있어지고, 예전에 말씀드렸듯이 한국 방송 포맷도 많이 사가서, 중국 방송들 보지만요..
그리고 꼭 표준어를 쓸 것 같은 도시. 상하이입니다. 실제로 상하이에서는 푸통화(표준어)를 씁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그런데 상하이 말도 원래 있고, 나이 드신 분들은 쓰십니다. 이것도 절대로 네버 네버 표준어와 통하지 않습니다. 상하이 출장시에 몇 마디 들어봤는데, 대췌 알 수가 없는 말이더군요. 그리고 약간 얼화를 썼더니, 바로 “너 베이징에서 왔구나~”그러더군요. 센스쟁이! 상하이에서 식당에 갔는데, 근처 시골에서 온 애인지 얼빵한 여자 직원에게 표준어로 했더니 못 알아듣더군요. 처음엔 내 발음이 틀렸나.. 하고 다른 애들한테 했더니 다 알아듣던데요.. 못난이!
제가 들은 에피소드 중에는 이런 것도 있습니다. 어떤 한국인이 중국어를 배우다가 상하이로 유학을 갑니다. 학교 앞에 자전거 가게에서 할아버지와 대화하는데, 도저히 못알아 들어서 “아.. 내 중국어가 아직도 멀었구나. 열심히 배워서 꼭 저 할배와 대화해야지.”라고 마음 먹었답니다. 그리고 1년후, 중국어에 자신감이 생겨서 그 자전거 가게를 갔는데 그래도 하나도 못알아 들었습니다. 상하이 사투리를 쓰시는 거였던거죠.
그리고 서부 내륙 지방인 신장 위구르 지역은 위구르어가 있습니다. 중국 사람(한족들)의 이름은 한국 사람과 비슷하죠. 성도 같은 성이 많으니까요. 그런데 위구르족 이름은 전혀 중국 사람같지 않습니다. 제가 만나 본 적이 있는 CCTV PD인 위구르족의 이름은 ‘쿠얼반장 싸마이티’입니다. 중국 사람인데, 아랍 사람같이 생겼죠. 그 옆 동네인 티벳에도 티벳어가 있는 등 그 쪽도 언어가 복잡합니다.
중국의 방언의 복잡성과 다양성에 대해 단적으로 보여주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져장인지, 쟝수 지역에 어느 작은 도시가 2개 있는데 그 2개 도시 사이에는 산과 강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강과 산 하나를 사이에 둔 2지역의 말이 너무 달라서 잘 안통한다는 얘기입니다. 또 하나는 한국 방송에서 어느 지방 도시에 가서 할머니를 인터뷰를 했는데, 북경에서 그 말을 알아듣는 사람이 없어서, 자막을 못 넣고 있었답니다. 겨우 그 지역 출신의 사람을 찾아서 번역을 했다고 하네요. 그 지역 사투리를 쓰신 거였죠.
아무튼, 중국에는 땅덩어리와 민족만큼 다양한 언어가 있습니다. 그런데 제 생각에는 결국 푸통화에 수렴할 것 같습니다. 광동화는 명맥은 유지하겠지만 방송이나 이런 것들이 모두 푸통화로 되다보니, 푸통화의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질 것 같네요.
오늘의 중국어는 식당에서 주문시에 하는 중국어입니다. 중국에 간지 2달 정도 되었을 때, 와이프가 식당에 가서 밥을 먹는데, 메뉴를 3개 정도 시킨 것 같은데, 7개가 나오는 겁니다. 항의도 못하겠고 해서, 그냥 맛만 보고 배불러서 나왔네요. 문제는 ‘이거’였습니다. 이거는 중국어로 一个, 1개라는 뜻입니다. 와이프와 대화하면서 “뭐 먹을래? 이거? 아님 이거?”이렇게 얘기했는데, 푸우유엔이 그걸 다 적었던 거죠. 성실한 푸우유엔!
음식 이름을 다 알려드리면서 할 순 없고, 발음도 힘드니, 메뉴판에서 음식을 가르키면서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我要这个,一个(워야오쩌거, 이거)나는 이것을 하나 주세요 라는 뜻입니다. 쩌거가 ‘이것’이라는 뜻입니다. 2개 필요하면 이거 대신에 两个(량거)라고 하시면 됩니다. 워야오는 I need의 뜻입니다. 애인에게 사랑한다는 표현도 我要你(워야오니)라고 하시면 됩니다. I need you와 정확하게 똑 같은 뜻입니다.
'Writing > 특파원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파원 소식 35탄 (0) | 2016.05.31 |
---|---|
특파원 소식 34탄 (0) | 2016.05.31 |
특파원 소식 32탄 (0) | 2016.05.31 |
특파원 소식 31탄 (0) | 2016.05.31 |
특파원 소식 30탄 (0) | 2016.05.31 |